반응형
\
“내가 받을 기초연금, 감액되면 어떡하지?” 많은 분들이 기초연금은 무조건 지급되는 걸로 오해하시지만, 사실은 소득인정액이 기준을 초과하면 감액되거나 수급 탈락할 수 있습니다.
오늘은 기초연금 감액을 피하려면 꼭 확인해야 하는 소득인정액 계산기 사용법을 예시와 표로 쉽고 빠르게 정리해드릴게요.
\
소득인정액이란?
기초연금 수급 기준의 핵심!
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두 가지 요소를 합산해서 판단합니다. 이 금액이 기준을 넘으면 연금이 감액되거나 지급 불가할 수 있습니다.
소득인정액 계산 방식
① 소득평가액 계산
- 근로소득: 기본 112만 원 공제 후 70% 반영
- 기타소득: 연금, 이자소득 등 전액 반영
② 재산의 소득환산액 계산
재산 종류 | 소득환산율 | 계산 공식 |
---|---|---|
주거용 재산 | 1.04% | (재산 - 공제액 - 부채) × 1.04% ÷ 12 |
일반 재산 | 4.17% | (재산 - 공제액 - 부채) × 4.17% ÷ 12 |
금융 재산 | 6.26% | (재산 - 공제액 - 부채) × 6.26% ÷ 12 |
자동차 (고급차 등) | 100% | 전액 소득으로 환산 |
모의 계산기 활용법
보건복지부 기초연금 모의계산기
공식 사이트에서 누구나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, 본인의 소득과 재산 입력만으로 기초연금 수급 가능 여부와 감액 금액까지 자동 확인됩니다.
감액을 피하는 팁
소득인정액 줄이는 방법은?
- 예금이나 금융재산이 많다면 → 일부 비과세 상품으로 이동
- 차량가액이 높은 경우 → 시세 조회 후 경차로 교체 고려
- 전세 보증금 등 부채가 있다면 → 증빙 자료 필수 제출
📌 함께 보면 좋은 글
👉 [2편] 소득인정액 계산법 정리
👉 [1편] 노령연금 개편과 수급 자격
반응형